해외개발사업

여러분의 작은 손길이, 아이들의 미래를 바꿉니다

해외개발사업 이란 변화를 가져오는 개발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현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지속적으로 지역개발 및 아동들의 복지에 초점을 두는 사업으로, 아동의 생존과 성장, 보건위생, 기초교육과 영적·정서적 성장, 아동이 속한 가정의 생계유지, 지역사회의 학대와 착취로부터의 보호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전개됩니다.

home-1_01-2
서브_타이틀이미지_540,540

세상의 많은 아이들이
제대로 학교를 다니지 못합니다.

해외개발사업 진행과정

한국에서 시작된 전문 국제구호기구

해외개발사업은 사업의 디자인 평가틀을 통해 한국재난구호의 모든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사업을 수행할 때 자료조사, 기획, 사업 실행, 모니터링, 평가, 숙고, 전환의 7단계로 진행합니다.

자료조사(Assessment)

약 1년 ~ 2년에 걸친 정치, 사회, 문화, 종교 등 지역사회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보유자원 등을 밝혀내 향후 그곳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개발사업, 구호사업, 옹호사업을 실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기획(Design)

자료조사를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적합한 사업전략을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지역조사 시 발견한 사업은 마을 사람들과 지역사회 지도자, 정부관계자 등과 함께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에 대한 전체 그림을 그리는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기획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5개년 사업을 구상합니다.

사업 실행(Implementation)

사업을 실제로 실행하는 단계로서 이 모든 활동은 기획단계에서 작성된 사업성과측정지표 수립(logframe)에 의거해 분야별(sector별)로 진행됩니다.

모니터링(Monitoring)

기획단계에서 계획한 대로 사업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자원투입(Input), 활동, 활동결과(Output) 등이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합니다.

평가(Evaluation)

5년의 사업기간 동안 매년 반기보고(Semi-annual report)와 연간보고(Annual report)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5년째 해에 최종평가를 합니다. 이러한 평가 과정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종결된 사업이 처음에 계획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숙고(Reflection)

사업과 관련된 기관이나 단체들이 사업과 관련된 모든 과정과 활동요소가 사업목표 달성에 적합했는지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용 가능한 교훈을 도출하는 단계입니다.
월드비전 지역개발사업은 5년을 한 주기(cycle)로 진행되며, 이러한 주기를 2~3번씩 거치게 됩니다. 한 지역에서 15~20년간 한 마을의 변화를 가져오는 사업을 진행합니다.

전환(Transition)

사업목표와 성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철수하고 대신 사업을 지역주민과 타 기관, 정부에 양도해 지역사회가 스스로 개발사업의 주역이 되어 사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입니다.